+ 공연 얘기보다 개인적인 '한탄'이 더 많음.
최악의 타이밍과 상황으로 1막만 보고 나왔음.

조금은 개인적인 이유로 보고 싶은 작품이었다.
무언가 이 공연을 보고 확인해야 할 것이 있었다.

하지만 아침 알바를 시작한 첫날인지라 몸은 녹초가 되었고 이상하게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처음에는 밤낮이 바뀐 일상을 살다가 아침형 인간으로 살려니 졸음에 그런가 했는데....그러기에는 앞이 너무 안 보이는 거다. 극장을 가다가 문득 이건 심하다는 생각이 들어 눈을 한쪽씩 가려 보니 오른쪽 시력이 이상한 것. 아뿔싸. 또 한쪽 렌즈가 없어졌거나 뭔가 문제가 생겼다는 판단이.
표를 찾고 화장실로 달려가 확인하니.... 없다. 오른쪽 렌즈가 없어졌다. 하아ㅠ 피곤해서 눈을 비비다가 빠진 거 같다. 하드 렌즈도 아니고 소프트 렌즈를 이런 식으로 잃어버릴 수 있단 말인가.

몸은 피곤하지
앞은 안 보이지
좌석은 2층이지.

과연 내가 이 공연을 볼 수 있을까 싶었다.
난시가 워낙 심한 편이라 그저 사람의 형태만 보일 뿐. 집에 갈까 하다가 그래도 극장 까지 왔으니까 일단은 시도해보자 싶어 객석으로 향했는데....

아- 내 배에서 나는 꼬르륵 소리.
정말 관크 제대로이다.

몸은 피곤하지
앞은 안 보이지
좌석은 2층이지
배는 계속 꼬르륵 거리지.

내 선택지는 정말 많지 않았다.
그래도 이 모든 것을 상쇄(?) 시킬 정도로 공연이 매력적이기를 바랐는데....
불행히도 내 스타일은 아니었다.

1막만 보고 뭐라 판단할 수는 없지만....
흠흠.
(어느 순간부터 개인적인 취향을 말하는 게... 특히나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서가 꽤나 조심스러웠다)
일단 연기 톤의 결이.... 애매모호.
연기 엄청나게 잘하시는 분들이 모인 건 알겠는데 이게 좀 애매모호하다. 내가 배우들의 표정이나 몸짓이 안 보이기에 더 청각적인 부분에 집중할 수밖에 없어서 유난히 더 그렇게 느낀 걸 수도 있지만...
개개인의 역량은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전체적인 톤의 결이 잘 모르겠다.

말하고 싶은 부분도.
꽤나 매력적인, 생각할만한 대사들은 많았지만 나.에.게.는 공감가기가 어려웠다고 해야할까.

그저 여자 주인공의 언니가, 그 가족이 말하는 불행에 대한 부분은... 그리고 그 가족에 대한 부분은 생각할 부분이 많은데...
남자 주인공...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로베르트 쥬코를 따라가는 게 참 많이 어려웠다.
왜 그리 눈 내리는 아프리카를 가고 싶어하는 거야? 2막까지 봤더라면 그 이유를 알게 됐을까.

1막에도 기억하고 싶은 대사들은 꽤 있었는데... 역시나 바로 안 적어 놓으니 기억이 안 난다. 하하. 내 뇌의 용량이 문제인 거지. (라고 말하면서 정말 좋았다면 기억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내가 컨디션이 좋았더라면, 완벽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더라면, 내 배가 고프지 않았더라면
조금은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었을까.
알 수는 없지만, 일단 1막까지 본 결과... 개인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확인이 되었으니 그것으로 만족!


++

프랑스의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유작 '로베르토 쥬코'

'로베트로 쥬코'는 콜테스가 죽기 전인 1988년에 이탈리아의 연쇄살인범 로베르토 쥬코를 모티브로 해 쓴 작품이다. 쥬코는 1981년 19살의 나이에 부모를 살해한 혐의로 정신병동 감옥에 수감됐다가 몇년 후 탈출, 프랑스와 스위스 등지로 도망 다니며 사람들을 납치, 살해해 유럽을 공포로 몰아넣은 인물이다. 그는 1988년 다시 체포돼 수감됐다가 감방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연극은 이 충격적인 사건을 소재로 삼은 탓에 프랑스 일부 지역에서는 초기 몇년간 공연이 금지되기도 했다.

연극은 단순히 살인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사회의 타락과 모순, 가족관계의 파탄, 소통의 부재 등을 고발한다.

김윤철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이 작품이 쓰인 1980년대 하더라도 주인공의 동기 없는 살인 탓에 사실주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러나 오늘날 악과 폭력이 압도하는 시대가 되면서 동기가 없는 캐릭터의 성격, 논리가 없이 사건이 전개되는 이 연극이 사실주의적인 작품이 됐다"고 말했다.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이를 어쩌지.
어떤 말부터 시작해야 할까.

솔직히 눈물 두 번 정도 흘리기는 했다.
그리고,
상실의 고통이라는 소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편이기도 하고.

하지만,
누군가가 추천 여부를 묻는다면? 흠흠흠.
이유는....
톤이........ 합이........
하아- 몇 몇 배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연출적인 문제 때문이었을까.
보면서 손발이 오그라드는 순간이 많았고 내가 민망해지는 순간이 많았고.
초반에는 꽤나 성적인 이야기들이 많았는데 (부부의 이야기가 주가 됐기 때문에) 내 주변에는 초등학생들이 앉아 있을 뿐이었고.

반전 1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은 너무 초반에 눈치를 챘고, 반전 2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50%만 초반에 눈치를 챘고.
베우자의 죽음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민들레 바람되어(?) 바람 처럼(?) 생각도 많이 나고.

나 역시 죽음과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에 대한 글을 쓰고 싶어했던 사람으로서는 공부가 될만한 부분도 많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기나 연출, 조명 등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작품이었다.

+덧,
왜!!! 게이들을 그렇게 우스꽝스럽게 묘사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처음에는 극 중에 왜 게이 캐릭터가 등장해야 하는 지 그 자체가 의문이었지만 보다보면 이해가 간다. 왜 게이라는 캐릭터가 더 잘 어울리는지, 왜 필요한지. 하지만 왜 그 게이를 그렇게 우스꽝스럽게 표현해야만 하는 것이냐는 거다. (이런 고민이 전에 본 <나, 말볼리오>때문인 거 같기도 핮만) 게이를 그냥 처음부터 멋있는 캐릭터로 그릴 수는 없는 건지... 게이를 유머 캐릭터로만 (물론 그래서 나중에 진정성이 더 배가 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도 부정하지는 못하지만) 소비시켜야만 하는지 모르겠다.

 

 

 

사실, 요즘 공연을 많이 잊고 살았다.

공연 본지도 꽤 오래됐고.

이제 '나름' 공연을 공부하는 사람이 되었는데...

너무 보려고 하지 않는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

수업 시간에 "<나, 말볼리오> 보러 가시는 분?" 이라는 질문을 받고서야 이런 공연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뒤쳐지는 느낌도 싫고, 다시 한번 열정을 불태우고(?) 싶다는 마음에 황급히 예매를 하고

극장으로 향했다.

공연을 보기 전에 셰익스피어의 <십이야>를 다시 읽고 싶었는데... 역시나 나는 마음 뿐.

하지만 딱히 읽지 않는다고 해서 전혀 문제 될 것은 없을 것 같다.

 

공연을 다 보고 나오는 길,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나와 함께 출구를 빠져나오는 한 남성 관객은 (다소 격한 표현이기는 하지만)  "배우한테 강간 당한 기분이네" 라고 말했고, 횡단 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는 한 여성 관객은 "기획의 승리인 것 같아"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 모든 걸 떠나서,

 

과연 극장이라는 게 무엇인지,

웃음이라는 게 무엇인지,

광기라는 게 무엇인지,

관객이라는 게 무엇인지,

공연이라는 게 무엇인지,

희곡이라는 게 무엇인지,

연기라는 게 무엇인지

 

아주 다양한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는 작품이었다.

웃기지만 웃음이 나지 않는,

웃고 있지만 씁쓸해지는,

조금은 눈물이 날 것도 같은 그런 이상한 기분.

 

<나, 말볼리오>는 1인극이었는데, 글을 쓰고 제작을 한 팀 크라우치 Tim Crouch가 출연한다. 이 작품은 관객석의 조명을 끄지 않는다. 어둠 속의 관객석에 앉아 있어야 하는 내가 조명 아래 있다는 사실이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졌다. 그만큼 관객 참여가 많은 공연이었는데, 솔직히 고백하건데 한국 사람들의 정서가.... 조금은 착해서(?) 아마 배우가 연기하기가 살짝 힘들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그 부분까지 다 계산된 연출이자 무대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이 작품을 보고 생각했다.

그저 스쳐지나갈 수 있는 아주 사소한 것들, 그리고 주인공이 아닌 주변인들...

우리가 놓칠 수 있는 것들.

그 모든 것들을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그리고 다른 깊이로 바라보고 싶다고.

그럴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이다.

 

 

“난 미치지 않았어.”(I’m not mad.)

“난 미치지 않았어.”(I’m not mad.)

“난 미치지 않았어.”(I’m not mad.)

 

 

 

 

보고 싶었던 작품이기는 하나,

우연치 않은 계기에... 마음의 준비 없이(?) 이 작품을 만나게 되었다.

이석준, 오종혁 배우 캐스팅으로.

아빠 역할은 배수빈 배우나 오종혁 배우 둘 다 상관이 없었지만..

아들 역할을 오종혁 보다는 윤나무 배우가 보고 싶었다.

 

우선 배우에 대해서 조금 언급을 해보자면...

내 스스로도 조금 이상하다고 느끼는 게...

배수빈 배우는 무대에서 본 적도 없는데 믿음과 신뢰가 간다.

무대 위에 있는 배수빈 배우를 만나보고 싶다.

이석준 배우는 큰 호불호는 없으나 시간이 흐를 수록 매력적이라고 느껴진다.

중년(?)의 멋있음을 온몸으로 내뿜는다고 해야할까.

윤나무 배우는..... 어쩔 수 없이 인정.

연기 참 잘하시는 것 같다.

좋아하고 안 좋아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 배우의 작품을 그리 많이 보지는 못했지만...

그냥 정말 잘한다는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그리고... 오.종.혁.

아직까지도 아이돌의 느낌이 나한테는 더 많이 남아있었던 것 같다.

<그날들>에서 본적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솔직히 크게 인상이 깊지는 않았었다.

 

하.지.만.

이번 작품을 통해서 그래도 아직도 벗고 있지 못했던 오종혁이라는 배우에 대한 편견에서 조금은 탈피했다고 해야 할까.

장애를 가진 역할을 정말 훌륭하게 소화해내줬다.

그리고 배수빈 배우 보다 이석준 배우로 본 게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뭐라 말할 필요 없이 엄지 척!

(배수빈 배우를 무대 위에서 본적도 없으면서... 아직은 10대 후반의 아들을 가지고 있는 아빠 역할로 잘 상상이 안 간다...

이건 칭찬인지... 아닌지...)

 

디테일한 공연에 대한 정보는 없었는데...

함께 한 지인이 엄청~~~ 슬프다면서 휴지를 꼭 챙기라고 했다.

중반까지는 크게 슬프지 않았는데...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 자체가....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사람들이 뮤지컬 <빨래>를 보면서 간혹 가다가... 사회적 약자들을 다룬 <동행> 등

그런 프로그램을 보는 것 같아서 불편했다는 말을 하고는 하는데...

<킬미 나우>는 정말....... <사랑의 리퀘스트>였다......

이건........ 너무 슬픈 소재잖아.

한국에서 이런 걸 '신파'라는 표현을 쓰고는 하는데...

캐나다 (맞는 지 정확하게는 모르겠다)에서 넘어온 작품이... 이런 신파 '성향'을 가지고 있다니...

 

장애를 가진 아들과... 불치병에 걸린 아버지................

아.... 소재 및 상황이 너무 힘들었다.

하지만 알고 있다.

그게 드라마가 아니라, 눈 감아서는 안 되는 현실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연극이 좋았던 것은 신파로 보일 수 있는 소재와 상황 속에서도

'결국'은 '사랑'을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아버지와 아버지의 연인.

아버지와 아들.

오빠와 여동생.

 

이 와중... 친구 고모와의 사랑은 어떻게 얘기해야 하지.

(이 부분이 제일... 재미있으면서도 현.실.적.으.로 답답하기도 했다.

아픈 조카에 이어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조카 친구와의 사랑이라니.

엄마와 새언니, 오빠에 이어서... 그걸 어떻게 감당하려고.

이진희 배우님... <프라이드>에서도 굉장히 매력적이셨는데... 여기서도 참 좋았다)

 

그리고 한가지 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 너무 '리얼'하게 보여줬다는 것.

특히나 '성'에 대한 부분.

생각해 볼 지점이 많은 작품이 아니었나 싶다.

 

그리고 안락사까지도...

이렇게 하나 하나 적어내려가다 보니... 정말...

사회적으로도 많은 부분을 생각하게 만든...

하지만 그것을 하나로 잘 꿰어낸 작품이 아니었나 싶다.

무엇 하나 튀지 않게.

다양한 이야기들을.

적절한 재미와 엄청난 슬픔을 함께 가미하여.

 

오래간만에 감정적으로 힘든 작품이었다.

 

참... 재미있다.

 

2015년 다이어리 맨 뒷장에

이런 글(?)들을 써놨다.

 

1. 빚 청산하기 (생활비 대출, 친구 대출, 학자금 대출)

2. 1년 적금 만기 + 적금 하나 더 들기

3. 극작  

- 창작 산실 연극 부문 지원

- CJ 크리에이티브 마인즈 연극 부분 지원

- 단막 드라마 1개 지원

- 신춘문예 희곡 부문 지우너

=> 극작 공부 "한국방송작가교육원 기초 과정 (4월 / 9월)"

4. 대학원 : S대 (서울대 아님), H대

5. 영어 공부 : 토.. 아니, 오픽!

6. 일어 공부 : 회화 완성

7. 다이어트 & 연애

8. 독서....

 

사실... 매년 반복 되는 목표였다.

매년 끊임없이 복제되는...

하지만 한 10년간 변하지를 않는... 목표.

 

근데... 올해..

친구 대출을 제외, 생활비 대출과 학자금 대출을 해결했다.

너무나 적은 돈이었지만 1년 적금 만기 했고, 목표했던 금액은 아니지만 다른 적금도 들기는 했다.

극작은.... 지원 하지는 못했지만..

30분 짜리 짧은 공연을 올릴 수 있게 되었다.

한국방송작가교육원 기초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H대(처음에 의도했던 H대는 아니나, 더 가고 싶은 학교였다)에 입학하게 되었다.

 

영어 공부나 일어공부, 다이어트, 연애, 독서는...

아직도 미해결(?) 중이지만...

그래도 2015년에 꿈꿨던 많은 것들이 올해를 기점으로 하나 하나 이뤄지고 있다.

 

특히나 올해는 글을 쓰는 것에 집중을 해볼까 하는 생각으로

예전에 썼던 글들을 하나 하나 되돌아 보고 있다.

심지어 여기에 썼던 끄적거림까지도.

근데 정말 신기한게...

내가 쓴게 맞을까 싶을 정도로 낯설다.

 

아주 오랫동안 글을 잃어버리고 살았다는 생각이 든다.

새롭게, 다시,

시작하고 싶다.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지껄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게 불면증인가봐  (0) 2017.06.03
20170428  (0) 2017.04.28
당콩당콩 근두근두  (0) 2015.12.03
세 개의 외장하드  (0) 2015.03.06
가끔 그런 상상은 해  (0) 2014.1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