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일의 시작.
큰 일의 끝.

모르겠다.
Don.t touch me.
아니,
Help me.

내게 절실한 건.
내게 절실한 건.
내게 절실한 건.

'지껄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괜찮지 않다.  (0) 2010.05.19
맥주가 녹기를 기다리면서  (0) 2010.05.18
2010년 5월 5일, 짧은 전주 여행  (0) 2010.05.05
사월의 끝  (0) 2010.04.28
I'm OK  (0) 2010.04.19

나는 이준익 감독과는 코드가 맞지 않는 것일까.
이준익 감독의 이름 앞에 항상 따라다니는 <왕의 남자>라는 수식어.
나는 참 그 수식어가 무미건조하다.
<왕의 남자>에 나는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하였기에.
그 영화를 보면서 솜털이 곤두서지도 않았고, 닭살이 돋을 정도의 전율을 느끼지도 못해다.
물론 그렇게 나의 감각을 자극하는 영화를 만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말이다.

(오히려 생각없이 봤었던 <즐거운 인생>의 경우에는 재미는 있었다.
하지만 그 재미 역시 <소년 메리켄사쿠>라는 영화를 보게 된 이후 크게 반감되어버렸지만 말이다. - 훗날 기회가 된다면 다시 주저리 주저리 해보겠지만 비슷한 소개를 가지고 접근하는 방식이 너무나 달랐고, 슬프게도, 혹은 안타깝게도 나에게는 <소년 메리켄사쿠>까 훨씬더 자극이 강했다.)

그래서 이번 이준익 감독의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도 큰 관심과 기대는 없었다.
황정민과 차승원이라는 배우가 나온다는 사실 정도만 알았을 뿐.



요즘 도통 영화를 보지 못했고,
영화에 관심도 사라져가고 있던 찰라,
그냥 이러면 안되겠다.
또 즐거움 하나가 사라지는구나 싶어서 무작정 영화관을 찾았다.

솔직히 보고 싶은 영화가 없어서,
그냥 그냥 그냥 어쩔 수 없이 이 영화를 선택했다.
영화가 끝나고 난 후,
옆에 앉아있던 여자 두명 중 한 명이 말했다.

"재미는 있네. 근데, 뭘 의미하는지는 모르겠다"

100% 공감이다.
재미있는 부분들은 많다.
하지만 뭘 의미하고자 하는지, 잘 모르겠다.
감성을 자극하는 뭔가가 없다.

영화관에서 나와 리플렛을 집어들었다.
이런 카피가 적혀 있었다.

"왕은 백성을 버렸고, 백성은 왕을 버렸다. 누가 역적인가!"

내가 묻고 싶은 말이었다.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져 명분없는 당파 싸움을 하고 있는,
묘하게 현실을 풍자하고 있는 양반들의 모습.
그리고 나라를 버리고 자신의 안위만 살피는 왕.
(이 영화의 핵심이자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지만,
이렇게 말해버린다면 도대체 황정학(황정민)과 이몽학(차승원)은 뭐가 된단 말인가)
물론 이들은 역적이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썩어빠진 세상을 뒤엎고 스스로 왕이 되려 했던
이몽학이 역적이 아니란 말이가.
자신의 야망을 위해 친구를 짓밟고, 결국 백성에게 등을 돌려버린
이몽학은 역적이 아닌 무엇이란 말인가.

그래, 어쩌면 영화는 야망이란 한낱 꿈에 불과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도망가고 아무도 남지 않은 궁궐을 허망하게 바라보던 이몽학의 눈빛을 바라본다면.
하지만 이것을 주제로 삼기에는 곁가지 이야기들이 너무 많았다.

더군다나 견자(백성현)에게 꿈이 없기 때문에 결코 이몽학을 이길 수 없을 거라고 말하는 백지.(한지혜)
너무나더 서럽게 울던 견자.
하지만 결국 이몽학은 견자의 칼에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렇다고 견자가 이몽학을 이겼다고 말할 수 있을까.
절대 아니다.
이몽학이 죽은 건 견자보다 약해서가 아니었다.
세상을 뒤엎고 왕이 되고자 했지만, 한번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텅 빈 궁궐을 바라봤을 때,
이루고자 했던 것이 한 순간에 무너졌을 때,
이몽학은 스스로를 죽인 것이다.
더 이상 꿈 꿀 수없음을 알기에.

이정도 되면, 불평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어진다.
꿈을 꾸라는 거야. 말라는 거야.
꿈을 꾸되, 과하게 꾸지 말고 적당하게 꾸라는 거야?
라는 소리가.

게다가 정말 못마땅했던 것은 백지의 존재.
남성 판타지를 어떻게 해야 좋을런지.
왜 여자와 사랑이 빠지면 흥행 혹은 영화가 안 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백지의 역할을 난 정말 모르겠다.
소용돌이 치는 역사의 한 획 속에서도 사랑은 살아있다? 훗.
웃기는 소리 하지 말라고 해라.
백지는 남성의 판타지를 자극하는 설정 그 이상, 이하도 아니었다.

첫 등장에서 견자에 의해 옷이 벗겨지고,
자신을 떠나려는 이몽학에게 키스 세례를 퍼붓고,
죽어가는 이몽학에게도 입을 맞추며,
신음(?) 가득 섞인 목소리로 이몽학의 귀에 속삭인다.

"꿈 속에서 만나"

뭐하자는 건지.

이건 뭐 불멸의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건지,
한 남자의 야망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인지
도통 알수가 없으니.

이러니 검객 황정학과 이몽학의 대립은 볼거리를 풍요롭게 만들어주기는 하였으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만들어 나가지는 못했다.

그나마 마음에 들었던 것은,
백성현이라는 배우.
예전에는 그렇게까지 마음에 든다는 생각은 못했는데,
연기도 100%는 아니지만 꽤 잘한다는 생각이 들고.
그냥 이 영화를 한 남자아이의 성장 드라마 정도로 봐 준다면,
그럭저럭 볼만할런지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자가 장식하는 마지막 장면은,
"그래서 어쩌라고"라는 말을 입 속에 맴돌게 했다.
 
견자라는 아이가 그 많은 왜놈들 속으로 뛰어 들어갔던 것은
어떤 공명심 때문도 아니었고, 애국심 때문은 더더욱 아니었다.
그저 상황이 그를 거기까지 이끌게 했을 뿐.
결국 꿈 없는 민초가 나라를 구한다는 것인지.
하지만 그게 나라를 구하는 것인지,
아니면 개죽음인지는.....;;;;;;

글이 두서가 없는 것은
영화에 대한 내 단상들이 그리 일사불란하게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자그마한 억지를 쓰며.

이만.


P.S 황정민 이야기는 나오지도 않았다ㅠ
      연기를 정말 잘 하더라.
      차승원도 잘 하긴 하더라. 
      차승원의 치아 분장이 마음에 들더라.
      배경(영상)도 괜찮더라.
      정말 이게 다더라.


여행이랄것두.
서울에서 6시50분에 출발하는 전주행 버스에 올랐다.
전주에서 6시30분에 출발하는 서울행 버스에 올랐다.
집에서 터미널까지, 터미널에서 집에까지의 시간을 제외하면,
12시간 조금 못되는 짧은 전주의 하늘, 그리고 바람.

정말 바람 같은 것이었다.

제일 친한 친구의 생일을 잊어버리고,
그 친구를 보러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이것은 거짓말.

외로웠다.
빨간 날 아무것도 할일이 없는 내가.
빨간 날 아무도 불러지 않는 내가.
외로웠다.
고독했다.

그래서, 할일을 찾아야만 했다.
무리한 의미를 부여해서라도.
그 무리하고도 당연한 의미가 내게는 그 친구였다.

그 친구가 머무는 전주행 티켓을 위해 검색을 하다보니,
눈에 띄는 단어가 보였다.

'전주 국제 영화제'

영화에 관심이 있는 척,
잘난 척 떠들어대도,
한번도 나는 찾아서 영화제에 다녀와본적이 없다.
영화제 자원봉사자에 지원도 해봤지만,
결국은 낙방!
우연에 인연이 겹쳐야만 서울 내, 혹은 교외의 영화제만을 찾았을 뿐이었다.

이유에 이유가 생겼다.
전주를 가야만 하는.
전주행 티켓과 영화 두 편을 예매했다.

하지만 전날, 고민이 되는 일이 생겼다.
업무적인.
회사를 나가야 하나, 전주행을 택해야 하나 고민을 했다.
결국 나는 전주행을 택했다.
택해야만 했다.

오전의 전주는 좀 썰렁했다.
국제영화제라는 느낌이 좀 들지 않았다.
첫번째 영화 <공원 벤치의 가이와 매들라인>
흑백영화, 재즈, 뮤지컬.사랑
이 세단어가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였다.
영화는 생각보다는 지루했다.
하지만 나쁘지 않았다.
구성이라던지, (의도적인) 편집이라던지,
이런 부분은 조금 관람을 하기가 힘이 들기도 했지만,
음악과 결론이 마음이 들었다.

첫번째 영화를 보고 다시 전주의 거리로 나서니,
이제는 좀 영화제의 느낌이 나기 시작했다.
대충 점심을 때우고,
친구에서 선물할 책 한 권을 사들고 두 번째 영화를 보기 위해 향했다.

<암리카>라는 영화였다.
처음에 예매하고 싶었으나 매진이어서 하지 못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시 확인했을 때
좌석이 생겨서 기존에 예매한 다른 영화를 취소하고 예매한 영화.(뭐가 이렇게 복잡한지ㅋ)

재밌었다.
유쾌했다.
즐거웠다.
슬펐다.
안타까웠다.
아쉬웠다.
행복했다.

등등등.

그리고, 택시를 타고 친구가 있는 성당으로 향했다.
만날 수 있을지,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르는 성당으로.
성당에 무턱대고 앉아있었다.
인연이 된다면, 운명이라면 만날 수 있겠지.
인연과 운명은 만들어나가는 거겠지.
사무실은 닫혀있고,
마음속으로만 빌었다.

"나와라. 나와라"

신도 분이 오셨고, 그 분의 도움으로 친구를 만날 수가 있었다.
낯설 수도 있는데,
추억을 기억을 먹고 산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했다.
그 친구와 만든 그 수많은 추억들이 감사했다.

돌아오는 길.
또 다시 외로워졌다.
매우.
많이.
엄청.
무지.

여행이라는 게 그렇다.
짧은 여행이든.
긴 여행이든.
여행 순간에는 그 다음 일을 생각하지 않는다.
여행 = 일탈.

하지만 일상으로 돌아오는 순간은,
처절한 고독과 외로움이 남는다.
더불어 일에 대한 두려움도.

내겐 사람이 필요하다.
내겐 사랑이 필요하다.
내겐.
내겐.
내겐.

행복해지고 싶다.
사랑하고 싶다.
사랑받고 싶다.

나의 짧은 여행의 최후.

'지껄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주가 녹기를 기다리면서  (0) 2010.05.18
Don't touch me  (0) 2010.05.06
사월의 끝  (0) 2010.04.28
I'm OK  (0) 2010.04.19
다이어트  (0) 2010.04.14

사월이 끝나고 있다.
내 생일 있어서 좋아하는 달, 사월.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의 생일이 있어서 좋아하는 달, 사월.
꽃이 피기 시작해서 좋아하는 달, 사월.

그렇게 좋아하는 달, 사월.

사월에 있던 내 생일은 미치도록 외로웠다.
사월에 있던 좋아하는 사람들의 생일은 제대로 챙기지도 못했다.
사월, 바람이 불고 비가 온다. 꽃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그렇게 좋아하는 달, 사월.
사월의 끝자락에 섰다.

'사월의 끝'이라는 단어를 웅얼거리고 있자니,
어김없이 <사월의 끝>이라는 영화가 떠올랐다.
어쩔 수 없는 연상작용.




오광록 아저씨를 처음으로 알게된 영화.

한 청년이 기차를 기다리고 있다.
아니, 기차를 타고 올 사랑하는 여자를 기다리고 있다.
그 옆에 중년 남자가 담배를 피고 있다.
청년에게 자꾸만 자꾸만 성냥불을 빌리는 그 남자.
중년 남자는 성냥으로 담뱃불을 부쳐주는 그 청년의 손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그렇게 한 번, 또 한 번.
마지막 성냥이 남았을 때 쯤인가,
청년은 누군가를 위해 남겨놓아야만 하는 것처럼 머뭇거리고,
남자는 이야기한다.
아내에게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다고.
아내는 그 사람의 손이 참 예쁘다고 말했다고.
그래서 아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손을 보고 싶었다고.
중년의 남자는 청년에게 단지 하나를 준다.
기차가 들어오는 플랫폼에서 청년이 남자가 준 단지를 들고 서 있다.
단지 뚜껑을 열자, 그 안에 있던 여자의 유골이
기차 바람이 허공으로 흩날린다.

마지막 장면 하며,
중간 중간 중년 아저씨가 바닷가에서
백사장 모래로 여자의 부조를 만드는 장면까지...
너무나도 인상 깊게 기억에 남아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사월의 끝'이 되면,
이 영화가 생각이 난다.

영화를 못 본지 너무 오래됐다.
이상하게 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보고 싶다는 욕구가 일지 않는다.

뭔가에 미친다는 것.
뭔가를 미치게 좋아한다는 것.
뭔가를 꾸준히 좋아한다는 것.

왜 내게는 이런 게 없을까.
항상 빠지게 되는 딜레마다.

그렇게.
이렇게.
사월의 끝자락.

'지껄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n't touch me  (0) 2010.05.06
2010년 5월 5일, 짧은 전주 여행  (0) 2010.05.05
I'm OK  (0) 2010.04.19
다이어트  (0) 2010.04.14
내게 이런 남자를 내려주세요  (0) 2010.03.06


I'm OK!
Happy Birthday To Me.

'지껄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5월 5일, 짧은 전주 여행  (0) 2010.05.05
사월의 끝  (0) 2010.04.28
다이어트  (0) 2010.04.14
내게 이런 남자를 내려주세요  (0) 2010.03.06
정말 찌껄이기  (0) 2010.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