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이 오셨다>를 예매하려다 <지하생활자들>과 묶여 있는 패키지 상품을 보게 되었다. 인간의 심리라는 게 참 얄궂은 구석이 있어서, 1+1이나 패키지를 보면 한번쯤은 눈이 돌아가게 된다. <주인이 오셨다>를 기대하는 많은 이들이 김광보, 고연옥 콤비의 전작인 <지하생활자들>을 높게 평가하고 하고 있었고, 그들의 또다른 작품을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먼저 보게 된 <주인이 오셨다>가 기대와는 다르게 내게 애매모호한 작품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실망까지는 아니었지만, 크나큰 감동이나 재미, 의미를 얻지 못한 것이다. 그러다 보니 나도 모르게 <지하생활자들>에 대한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재미가 없으면 어쩌지?” 나와는 코드가 맞지 않을 수도 있다며, 기대치를 낮추고 극장을 찾았다. 공연장은 <주인이 오셨다>의 백성희장민호극장과 마주보고 있는 소극장 판이었다. 역시나 다시 봐도, 참 예쁜 극장이다.

 

공연장 안으로 들어가자 무대와 객석의 구조가 마치 마당극처럼 되어 있었다. 특별히 단으로 되어 있는 무대도 아니고, 그저 무대를 빙 둘러 여러 가지 악기들이 놓여 있었다. 그리고 그 무대를 바라보며 자를 세워놓은 듯한 구조로 객석이 있었다. 자유석이었기에 맨 앞줄에 자리를 잡았다. 공연은 마치 풍물놀이를 하듯, 국악기를 연주하며 민요 같은 노래를 부르는 배우들이 등장으로 시작한다. 공연은 나의 우려와 걱정을 비웃듯이 너무 좋았다.


 


사실 커다란 정보는 알지 못하고 봤는데, 그래서 더 좋았던 것 같다. 한 여자가 말한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자신을 찾아 떠난 길에서 그 여자는 뱀 사내를 만난다. 얼굴엘 뱀 비늘이 그려져 있는 한 남자. 그 남자는 다른 다는 이유로, 특별한 사람으로 인지되어 승승장구 하다 어느 날 모든 것의 허망함을 느끼고(?), 지하로 지하로 지하로 지하로 들어간다. 그는 높고 높을 것만을 바라보는 것에 지쳐서 땅 속으로 숨었지만 사람들은 그를 신격화하고 의미를 부여해 또 그곳에서 또 다른 세계를 만들려 한다. 그런 그에게 유일한 위안이 되었던 사람이 잠든 그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그녀. 그리고 밝혀지는 그와 그녀의 관계.

 

사실, 어떻게 보면 <지하생활자들>은 꽤나 복잡한 연극이다. 꿈과 환상, 현실이 뒤섞여 있다. 시공간도 명확하지 않는다. 특별한 무대 없이 버스정류장’ ‘지하등의 단어 적혀 있는 깃발이 등장하면, 무대는 그 장소가 된다. 그런데 그게 이 연극의 가장 큰 매력이었던 것 같다. 큰 줄기를 잃지 않으면서도 그걸 구현하는데 있어서 적절히 신화와 환상, 그리고 현실을 이용해 표현했다는 것.

 

이 공연을 보면서 종합예술이라는 말이 많이 생각났다. 연극과 음악극을 함께 보는 듯한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전에 봤던 <컨텍트>라는 공연도 생각이 났는데, 뮤지컬이라는 장르로 구분되어 있었는데 실제로 대사나 노래는 없고 대부분이 춤으로 이뤄져 있었다. 그 공연을 보면서 재미는 있었지만 왜 이걸 뮤지컬이라고 부르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차라리 무용극이라고 하는 게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오늘 <지하생활자들>을 보니 공연에 있어서 장르라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 한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공연은 풍자나 비판 등 사회적인 의미도 크다. 하지만 나는 그저 여자와 뱀비늘 사내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춰 기억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스토리 구성 상으로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작품이었다. 공연이 끝나면, 배우들은 등장처럼 노래를 부르며 줄지어 밖으로 나간다. 밖에서 계속 악기를 연주하며 일렬로 서서 관객들을 배웅하는데, . 너무 멋있었다. 나도 고개 숙여 인사를 하고 나왔다. 아쉬운 것은, 고개 숙인 인사가 아니라 덩실덩실 어깨춤을 추며 나왔어야 하는데! 그걸 할 수 있는 철판이 안 된다. 흐흙. 국악과 연극의 절묘한 조화가 이뤄진, 우리 나라의 마당놀이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준, 그래서 국악이 참 좋다는 걸 깨닫게 해준, 몽환적이고 환상적이지만 현실에 대한 풍장을 잃지 않는 스토리텔링이 참 좋았던, 좀 멋있는 공연이었다.

 

  관객 열전  


살짝, 공연과 상관없는 에피소드를 이야기 해보자면, 객석 왼쪽 면에 어느 할머니 한 분이 앉아 계셨다. 공연 시작 전, 극장 관계자들이 그 할머니와 이야기를 면담(?)을 하는 것이 아닌가. 할머니께 무언가를 설명해드리는 것 같기도 하고. 한참을 이야기하던 직원은 직책이 더 높으신 분을 모시고 다시 와서 또 면담(?). 멀리 있었기에 무슨 이야기를 나누는지 알 수 없었으나 이상하게 궁금하고 신경이 쓰였다. 처음에는 할머니가 티켓 없이 무작정 들어오셨나 하는 생각도 들고. 그렇게 알 수 없는 밀담이 끝나고, 공연이 시작되었다. 여자 주인공이 대사를 치기 시작하는데 그 할머니가 뜬금없이 박수를 치는 것이 아닌가. 누가 봐도 박수가 나올 타이밍도 아니었는데. 흐름이 끊긴 배우는 멋쩍은 웃음을 지으며 다시 공연을 이어나갔다. 배우의 지인인가 하는 궁금증이 일었지만 뭐 확인할 바는 없으니까. 하지만 그러던 할머니는 채 공연이 반이 지나가기 전부터 꾸벅꾸벅 졸기 시작했다. 이렇게 끄적이고 보니, 공연은 안 보고 꼭 할머니만 관찰하고 있었던 것 같다. 하하. 하지만, 나는 할머니의 정체가 너무나 궁금했다.

 

그리고 공연장에 본 또다른 관객열전 2. 이번에는 왼쪽 객석에 앉아 계셨던 모녀, 혹은 사제 지간으로 추정되는 분들이다. 여자분과 중고등학생으로 보이는 단정한 이미지의 소녀이다. 공연은 마치 연극과 음악극이 하나가 된 듯, 노래의 비중도 크다. 마치 민요를 부르듯, 창을 하듯. 구성지게, 그리고 신명나게. 또 이런 우리의 국악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추임새’! 하지만 솔직히 일반 관객이 추임새를 넣기란 생각만큼 쉬운 일이다. , 나만 그런가. 무튼, 그런데 그 중년의 여성분이 너무나 열심히 추임새를 넣는 것이다. “얼쑤!” “그렇지!”. 그러니까 그 옆에 앉은 소녀도 따라서 추임새를 넣기 시작하는데, 그 모습이 너무 보기가 좋았다. 그들도 극을 만들어가는 배우가 된 듯해 보여서, 사실 조금은 부러웠다. 처음에는 그냥 딸이 이런 쪽을 공부하는 아이가 아닐까 생각했다가 나중에는 음악 감독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고. 내가 정체가 궁금했던 두 번째 분들이셨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