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01/백성희장민호극장



 

사실 드라마 작가에 대해서는 잘 아는데, 극작가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한다. 문학 시험에 등장할 법한 그런 작품의 작가들을 제외하고 현재 활동하고 있는 극작가에 대해서는 지식과 정보가 없다. (. 마음이 부족한 게 틀림없다. 좋아한다고 말만 하면서 알려고는 하지 않으니.) 그런 내가 극작가와 연출 때문에 선택하게 된 첫 번째 연극이 고연옥 작가와 김광보 연출의 <주인이 오셨다>이다. (사실, 극작가 중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는 첫 번째는 아니다. 작가의 이름만으로도 보고 싶었던 작품은 사실 정의신작가의 것들인데, 사실 보고 싶어만 했지 직접 보지는 못했다.) 

 

아마 고연옥 작가의 인터뷰를 읽게 된 게 계기였던 것 같다. <주인이 오셨다>의 집필에 관한 내용이었는데 연쇄살인범이 탄생하는 과정과 우리 사회의 어두운 모습을 담았다는 게 인상 깊었다. 그리고 일전에 봤던 <내 심장을 쏴라>도 한 몫을 했다. 정유정 소설을 극화한 <내 심장을 쏴라>의 팜플렛에서 고연옥 작가(각색)와 김광보 연출이 콤비라는 글을 봤었다. 고연옥 작가에 대해서는 잘 몰랐지만 그래도 김광보 연출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등 때문에 조금은 익숙했었다. 그리고 그 작품을 모두 너무나 인상 깊게 봤기 때문에 <주인이 오셨다>에도 일말을 기대가 있었다.

 

너무 어둡지는 않을까. 너무 우울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을 했었는데 예상 밖으로 재미있고, 웃기기 까지 하다는 트윗 리뷰들이 너무 많이 올라오는 것이다. . 도대체 우울한 소재를 어떻게 녹여낸 걸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막공 날짜가 얼마 남지 않아 있어 또 서둘러 공연을 보러 갔다.

 

우선 백성희장민호 극장에 대해 살짝 언급을 하자면. 왜 그렇게 예쁘게 지어놓은 거야. 솔직히 정말 단순한 건물인데. 특별할 것 없는 모양인데 색을 정말 잘 쓴 것 같다. 서울역 뒤편에 자리 잡은 백성희장민호 극장과 국립극단 판은 건물 3개가 자를 세워놓은 것처럼 생겼다. 그러니까, 입구로 들어가면 건물 하나가 저 멀리 중심을 딱 잡고 있고 그 양 옆으로 아까 말한 백성희장민호 극장과 소극장 판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국이다. 세 개의 건물이 모두 빨간색인데 단순한 건물이 그 색상 하나만으로도 톡톡 튀는 느낌이 된 것이다.

 

사실 그 근처에서 약 5년이란 시간을 살았는데만약 내가 살았을 때 있었더라면 정말 많이 좋아하는 극장이 되었을 것 같다. 처음에는 너무 엉뚱한 곳에 극장이 있다는 생각으로 갔는데 정말 만족스러웠다. 한가지 살짝 아쉬운 점이 있다면 방음이 좀 안 되는 것 같다. 극장에서 공연을 보는데, 차 소리가 두어 번 들렸다. 아마 내 귀가 잘못된 게 아니라면 음향 소리는 아니었을 것이다.

 

극장에 대해 만족한 것만큼 공연도 만족스러웠더라면 좋았을 텐데. 솔직히 공연은 기대를 많이 해서 그런지 아쉬움이 조금 남았다. 연쇄살인범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사실, <화이트 크리스마스>라는 드라마를 본 이후로 나를 사로잡고 있는 질문이 있다. “악은 태어나는 것인가, 만들어지는 것인가.” 그곳에서 요한의 대사 중 그런 부분이 나온다. “연쇄살인범이 나오면 왜 그의 어린 시절에 관심을 갖는 지 알아? 이유를 알아야 안심할 수 있거든. 알코올 홀릭에 폭력적인 아버지. 성적으로 문란한 어머니. 근데 아냐. 그건 사람들의 불안을 달래기 위해 언론이 과장하고 부풀린 소설 같은 거야.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모두 괴물이 되는 게 아니고, 정상적인 집안에서 태어난 괴물도 아주 많거든. , 우리 모두는 괴물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얘기지.”

 

그 대사가 내 심장 깊은 곳에 박혔는지 악의 기원에 대해서 나는 어떠한 판단도 내릴 수 없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연쇄살인범의 탄생을 탐욕스러운 할머니와 폭력적인 아버지, 그리고 다른 모습에 대한 편견으로 타인을 배척하고 이용하는 사회에 그 이유를 돌리는 <주인이 오셨다>가 나는 조금은 의문스러웠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기 이전이라면 당연히 이해하고, 같이 분노하고, 아파하고, 슬퍼했겠지만, 지금의 나에게는 의문형이 되어버린다. 꼭 그렇다고 악이 탄생하는가. 그러한 악의 탄생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어쩜 이 연극이 만족스럽지 못했던 것은, 마지막 감옥에서 대사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감옥에서 경찰이 주인공에게 던지는 그 말. “그 사실을 알고도 어떻게 널 미워할 수 있겠니.” 사람 같지 않은 사람들 밑에서 자라왔고, 얼굴색이 다르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세상의 냉대를 받아 왔고, 그래서 연쇄살인범이 되어버린 사람. 그런 사람을 쉽게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또 그렇게 쉽게 용서해도 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는 말이다.

 

이 연극에서 정말 나쁜 사람은 아마도 주인공의 할머니일 것이다. 처음에는 힘 없는 흑인 여자를 거둬주는 마음 좋은 아주머니이지만 그녀를 부리기 위해 자신의 아들과 결혼을 시키고, 그리고 말을 가르쳐주지 않음으로써 세상과 차단시켜 철저히 자신의 종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렇다면 그 할머니의 악은 어디서 온 것일까. 솔직히 이 연극을 보면서 모르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 그리고 이건 여담이지만 연극을 보면서 <억울한 여자> <가정식 백반을 맛있게 먹는 법>도 생각이 좀 났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상관이 없기는 하지만, 모든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그래서 주위 사람을 속 터지게 만드는 <억울한 여자>. 그 여자를 보면서 과연 옳고 그른 것이 무엇인가, 정말 나쁜 건 누구인가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여기서도 처음에는 남자 주인공이 <억울한 여자>의 주인공과 비슷하다고 느꼈다. 뭐 이야기하려는 바가 다르고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는 걸 지금은 알지만, 실제 연극을 볼 때는 조금 생각이 났었다.

 

<가정식 백반을 맛있게 먹는 법>의 경우에는 그 긴장감에 있어서. 외로웠던, 가난했던, 그래서 쓸쓸했던, 사랑 받지 못했던 사람에게 베풀었던 의무적인 호감이 이후 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그게 얼마나 상처가 되는지. 하지만 그 상처가 어떻게 표출되는 지. 긴장감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리고 그게 표출되는 결과에 대해서는 <가정식 백반을 맛있게 먹는 법>이 좀더 내 취향에 맞았던 것 같다. 물론, 지향하는 바, 말하고자 하는 바가 두 연극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하는 게 올바르지는 않다.

 

연극은 리뷰들처럼 웃음 포인트가 꽤나 많다. 특히 연기들을 참 잘하시더라. 감정선도 좋고. 대사에서도 연기에서도 웃긴 부분들이 나와줘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많이 상쇄시킨다. 하지만 너무 의도적인 부분들은 오히려 반감이 생긴다고 해야 할까. 노숙자들이 행동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부분은 솔직히 웃겨야 하는 거 같은데 웃기지가 않았다. 배우가 연기를 굉장히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조금은 더 스토리가 강조되고 실제를 반영한 무대장치를 사용했더라면 어땠을까. 이 연극은 최소한의 무대 장치를 사용해 식당과 가정집을 변경하고, 출연 배우들이 무대 뒤에 있는 게 아니라 무대 사방에 앉아 있는다. 시작할 때도 시작한다는 말도 없이 그냥 배우가 나온다. 뭐 그게 나쁜 건 아닌데, 정말 가정집이나 식당이 실제처럼 무대에 설치되고, 배우들도 안 보이는 곳이 있다가 나오고.. 좀더 자연스럽게 스토리가 강조된 연극이 되었으면 좀더 감정 이입도 쉽고, 조금은 또 다른 연극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솔직히 이 연극에 대해서는 표현을 하는 게 참 어렵다. 좋다는 평의 리뷰들을 보며 내 안목이 떨어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훌쩍이던 몇 명의 관객들에 비해 내 감정선이 메마른 게 아닐까 하는 걱정도 되고. 내 눈에 자신이 없는 것은 취향과 기호를 좋고 싫음으로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과 나는 비판에 대해 어떠한 근거나 대안책, 그리고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