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의 장르를 뭐라고 말해야 할까?
무용극? 청소년극? 실험극?
2016년인지 2018년인지 공연을 보고 왔던 지인이 극찬을 한 작품이었다.
그 지인 외에도 몇 명에게 괜찮다는 추천을 받았던 것 같다.
어렴풋이 기억을 하고 있다가 다시 무대에 오른다고 하길래 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티켓 오픈까지 챙겨서 보는 성향은 아닌지라 뒤늦게 예매하려고 하니까 매진 매진 매진.
한 2석 정도 남은 잔여석을 겨우 예매하여 공연을 보러 갔다.

 

사실 평이 너무 좋은 작품을 볼 때에는 가급적 사전 정보를 얻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내 느낌이 타인의 평가에 영향을 받을까 우려가 되기 때문이다.

 

역시나.
초반에는 왜? 왜 사람들이 이렇게 이 작품에 열광을 하는 거지?
의아함과 궁금함이 들었다.
원래도 무용이라는 장르에 대해서는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데, 다른 창작 산실에서 보아온 무용극과 뭐가 다른 건지 잘 알수가 없었다.
아! 바닥을 비롯하여 3면이 모두 칠판 형태로 이뤄진 무대와 조명은 꽤나 마음에 들긴는 했지만.

 

 

여하튼! 그렇게 고개를 갸우뚱 하고 있었는데

역시 콘텐츠라는 것은 '한방'이 있어야 한다.
인간과 초파리의 유전자에 대한 이야기도 좋았지만
(어쨌든 대사가 있는 게 좋아ㅎㅎㅎ)

 

중간에 분위기가 한번 훅 바뀌는데...
와- 다른 공연장에서는 어떻게 연출을 했을까 싶을 정도로 백성희장민호 극장과 딱 어울리는 등장과 관객참여형 연출. 음악과 딱 맞아 떨어지는 안무.

사실 지난 번 의정부음악극축제 때 이라는 공연을 보지 않았더라면 그 충격이 훨씬더 배가 되었을 텐데,
완전 새롭거나 센세이션하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한국에서 보기 힘든 연출과 에너지는 맞았던 것 같다.
물론 너무 길기는 했지만.

 

관객참여형 무대가 끝나고 나니, 살짝 다시 지루해지는 감이.
스토리를 좋아하는 인간인지라
너무 추상적인 표현은 어렵게 느껴진다.
좋아서 더 아쉬웠던 부분이었던 것 같다.
의미하는 바는 알겠지만 그 부분이 나에게는 잘 와 닿지는 않았다.

 

다만, 무대 위를 뛰어다는 배우? 무용수?들의 에너지.
그 부분은 최고.
그리고 진짜 커튼콜은.
아놔. 정말, 대애애애애박.
관객과 배우들이 하나가 되어 무대 위를 가득 채우는 열정.
아! 그리고 뭔가 그 모래처럼 먼지처럼, 가루처럼 날리는 연출.
그것도 좋았음.

 

여하튼, 무엇이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지,
살게 하는 지.
큰 맥락상으로는 이해할 수 있었으나
디테일이 좀더 살았으면... 조금더 편안하게 쉽게 접근할 수는 없었을까
하는 .... 생각이 드는.
하지만 연출과 배우들의 열정이 너무 훌륭했던
그런 좋은 작품을 만난 하루 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