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04. 18 / 성신여대CGV

 

 

개봉 전부터 보고 싶은 영화였다. 30대 초중반의 대리님께 대리님 나이대가 보면 엄청 아른할 그런 영화래요.”라고 말했다가 맞을 뻔 한, 그런 영화였다. 하지만 이 영화는 결국 연령과는 무관하게 많은 이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되었다. 20대 후반인 내 친구들이 보고 와서도 현재 남자친구랑은 절대 보러 가지 말 것’” “꼭 볼 것등의 평들을 쏟아냈다. 결국 볼 것이기 때문엔 친구들의 평이나 주변 리뷰들은 딱 그 정도 수위까지만 듣고 더 이상은 듣지도 보지도 않았다. 그렇게 호평의 호평 일색만 듣다 마지막으로 너무 과대평가된 부분이 있다. 기대만큼은 아니었다라는 평을 보게 되었고, 기대치를 조금 낮춘 후 영화관으로 향했다.

 

영화를 보고 돌아오는 엘리베이터 안. 사람들이 말했다. “조정석이 원래는 진짜 멋있거든.” “생각했던 것만큼은 아닌데. 기대를 너무 많이 했나봐.” “결론이 마음에 안 들어. 둘이 되야 하는 거 아니야?” . 하지만 나의 생각은? 들려오는 사람들의 의견을 전부 이해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좋았다.’ 이다. 영화를 장르나 국가를 구분한다는 게 무의미하긴 하지만 일본 영화가 많이 생각났다. 그 중에서도 이와이 슌지의 영화들. <러브레터> <무지개 여신>의 느낌이랄까.

 

미래의 이야기보다는 과거 이야기가 참 아련하면서도, 누군가에게 한번쯤은 있었던 추억을 떠올리게 만드는 것 같았다. 사실 홍보 포인트나 카피를 참 잘 정한 것 같다. “우리 모두 누군가의 첫사랑이었다.” 사실 영화를 보면 첫사랑이 현재 사랑이나 그런 건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결국 이루지 못한 사랑’. 그게 중요한 게 아니었을까. 물론 무스나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등 시대적인 배경 자체가 사람들을 향수를 자극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영화를 보면서 여자인 서연도 아니고 승민에게 심하게 빙의 해버렸다. 특히나 과거의 승민. 누군가는 자신의 마음 하나 고백하지 못하고, 진짜인지 아닌지도 알 수 없는 사실 때문에 그렇게 뒤돌아서 가버린 그를 찌질하다고 했지만, 나는 사랑이 마음이 고백이 쉽지 않았던 그가 절절히 이해 갔다. 세상에는 그런 사람도, 그런 사랑도 있는 거니까.

 

이 영화가 좋았던 이유는 극적이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성인이 된 서연과 승민이 다시 만나 대화를 나누는 장면들. 엄태웅, 한가인이라는 배우는 힘을 빼고 연기를 한 것 같다. 그들이 나누는 대화가 굉장히 편하게 느껴졌다. 연기를 잘 하고 못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영화에 가장 잘 어울리는 연기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다만, 말도 안 되는 이유이지만 한가인이 너무 예뻐서 살짝 영화에 집중하기가 어려웠다. 한가인도 사람이긴 하지만 너무 예쁘다보니 뭐랄까. 이 영화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느낌이랄까. 자연스럽고 평범한 것이 매력인 이 영화에서 한가인의 외모가 너무 빛이 났다. (이건 뭐, 칭찬인지 욕인지.)

 

배우들 모두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잘 해주었지만, 역시나 여성인 나로서 워너비는 이제훈. 그 후줄근한 패션마저도 어찌나 멋있으시던지. 그리고 조정석은솔직히 <건축한 개론>에서만 봤다면 그리 좋아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 그 잔잔한 영화에서 웃음 코드를 담당하고 있었으며, 그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냈다는 것에서는 박수를 쳐주고 싶지만 어쩔 수 없이 튈 수밖에 없는 역할이니까 사실 특별히 더 대단해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더 킹 투 하츠>에서의 캐릭터와 상반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얻은 것 같다. <더 킹>에서는 너무 멋있으니까. 하하하.

 

나는 이 영화의 마지막 결론이 좋았다. 그게 맞고 아니고를 떠나서 그냥 더 현실적인 것 같아서. 그래야 오히려 그들의 사랑이 완성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영화는 개개인의 소소한 감정을 건들임으로써 힘을 받는 것 같다. 영화의 배경이 된 정릉. 정릉 주민이 된지 반년을 향해 가고 있는데영화를 보고 돌아오는 길, 괜히 동네를 걸어보고 싶어졌고, 과거 누군가가 참 많이 보고 싶어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