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05 / 건대 롯데시네마

 

 

 

 

어딘서가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의 합창단 창단기를 다룬 영화가 개봉한다는 소리를 들었었다. 국악을 베이스로 한 음악영화라. 살짝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트위터에서 시사회 이벤트를 발견했고, 당당히 선착순 안에 입성! 시사회는 낮 4 30분이었는데, 아무래도 친구들은 다 직장인이다 보니 함께 갈 사람이…. 없어서 쓸쓸히 홀로 영화관으로 향했다. 표를 찾는데, 언론 시사회를 겸해서 그런지 OST CD도 나눠주었다. 왠지 기분이 두 배로 좋아졌고, 영화에 대한 기대감도 따라서 높아졌다.

 

...

 

영화가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는 못한 것 같다. 사실 영화의 기능이 무엇일까. 영화를 보고 자신의 무언가를 떠올리고 추억하게 되었다면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것일까. <두레 소리>는 나의 고등학교 동아리를 생각나게 했다. 영화를 보고 나니 그 당시의 사람들이 너무나 그리워졌다. 선생님들, 동기들, 후배들. 그리고 그때 그 시간. 그것만으로 이 영화를 좋은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영화는 전문 배우들과 아마추어 배우들이 함께 출연한다. 이 부분이 문제였던 것 같다. 아마추어의 연기로 극영화를 만들려니 어색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전문 배우들이 등장할 때와 아마추어 배우들이 연기할 때의 갭도 너무나 컸고. 극영화라고 해야할 지, 다큐멘터리라고 해야할 지 알 수가 없었다. 물론 내가 영화적인 이론이 부족해서 이 영화를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하는지 모르는 것일 수도 있지만 보기에 편하게 흘러가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스... 모든 것이 너무 익숙하고 통속적인 이야기들이다. 합창단이 생기고, 선생님과 학생들이 불협화음을 내다가 결국 서로를 이해하고 하나가 되지만 학교의 방해로 인해서 위기를 맞이하고 등등등. 어디서 한 번쯤 봤을 법한 이야기. 주인공이 되는 두 친구들의 갈등 소재도 그렇다. 그들이 갖고 있는 개인적인 고민들을 다루는 것은 좋은데, 거기에 왜 꼭 그런 뻔한 갈등이, 어색하게 들어가야 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어떻게 보면, 나 역시 두레소리와 유사한 과정을 겪었다. 선후배간의 갈등 때문에 동아리가 와해될 뻔 한 적도 있고, 학교와 동아리 간의 갈등 때문에 동아리의 존폐 위기에 처해본 적도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내가 졸업한 이후에 후배들이 한 작품이지만) 그렇기에 그들의 이야기는 공감이 되기는 했으나 특별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이 영화가 평범한 이야기를 가지고도 특별해지기를 꿈꿨던 것은 아마도 그것이 국악을 다루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성공을 했다고 생각한다. 영화 전반에 흐르고 있는 그들의 음악은 굉장히 좋았다. 공연 장면 역시나 좋았고. (학교에서 처음으로 선생님들을 앞에 두고 노래를 부르는 모습에서…. 선생님이 막 눈물을 보이는 장면은, 감정과잉이었다. 관객은 그 정도의 감동을 받지 않았는데, 배우가 막 울고 있으면 오히려 받은 감동마저도 반감이 된다. 나만 그런 건지는 몰라도.)

 

오히려 이 영화가 국악에 좀더 초첨을 맞췄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선생님이 술을 마시면서 유학을 갔을 때, 외국인 친구가 너는 왜 너희의 음악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했다고 말하는 장면. 나는 이 영화의 핵심은 그 장면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국악을 해서 자신이들이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게 될지에 대한 고민을 나누던 장면. 그 장면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설픈 우정이 아니라, 국악에 대한 고민이 이 영화가 더 진정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됐을 것이다.

 

귀는 즐거웠지만, 추억이 꿈틀거렸지만….

눈은 집중하기 어려웠던 그런 영화가 아니었을까 싶다.

 

, 시사회로 보고 왔기 때문에 사실 좋은 말들을 많이 쓰고 싶었는데쓰다 보니 이렇게 되어 버렸다. 아쉬움의 소리다. 좋은 소재의 영화가 좀 더 많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는데, 다양성을 충족시켜주는 영화는 되었으나 대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영화는 아닌 듯함에 대한 아쉬움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