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에는 잘 모르겠다는 말로 마무리가 되었지만,
몇년이 지난 지금 생각했을 땐,
성적소수자를 보는 나의 시야를 그래도 조금은 넓혀줬던 그런 책.

-2006. 02. 16

--------------------------------------




공연 잡지에서 [헤드윅]을 소개하면서,
성적 소수자의 이야기를 다룬
[젠더문학 소설집 - 레인보우 아이즈]를 함께 다뤄줬다.

이전에도 `퀴어 문화`에 약간의 관심이 있었기때문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더욱이 요즘 일본문화를 접하기 시작하면서,
팬픽이라던지 동인녀에 대해서 자주 듣고 보게 됐고
조금은 혼란스러웠고,
뭔가 내 스스로의 가치관 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이 그런 나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됐다.

시작하고 중간에 손을 놓치 못한 채 끝까지 다 읽게 됐는데,
정독을 하지는 않았다.
6개의 단편소설보다는 `펴내며` 부분이 더욱 감동적이었다면,
그건 좀 문제가 있는건가?

동성애자를 상징하는 무지개 깃발은 여섯가지 색깔이라고 한다.
이 깃발을 디자인 한 `길버트 베이커`는 색깔마다 저마다의 상징을 심어두었다고 한다. 빨강은 `삶` 주황은 `치유` 노랑은 `태양` 초록은 `자연` 파랑은 `예술` 보라는 `영혼`!!!
원래 남색도 디자인데 포함되었으나, 퍼레이드에서 좌우 조합을 맞추기 위해 일부러 뺐다고 한다. 남색의 의미는 `조화`!!
이 책은 남색을 제외한 여섯가지 색깔을 바탕으로 쓰여진 단편으로, 이 책을 선택한 이성애자가 `남색`을 써내려가길 바란다.
(라고 `펴내고`는 말한다.)

내가 쓰는 남색이란.
처음에는 솔직히 별로였다. `싫다`는 느낌의 거부감은 아니었으나, 뭔가 미묘한~.

트랜스젠더 아빠를 둔 딸의 이야기인 [입술나무]의 경우, 자식이 그런 아빠를 바라보는 심리묘사는 좋았으나, 둘이 이해하게 되는 계기가 너무 급작스럽다.
또한 외국 게이와의 조우를 다룬 [게임의 법칙]과 정말 뭐가 뭔지 모르겠는 [아마쥐 아 요재지이]의 경우 역시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잘 알 수 없었다.

내가 책을 읽음에 있어 너무 `의미`를 찾으려 했기 때문일까.
그렇다. 이 책은 어쩌면 정말 그냥 `보여주기`를 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성적 소수자의 삶을...
그런데 나는 그 시선을 따라가는 게 아니라, 뭔가 이성적으로 이해받으려고 했던 것 같다.

가정적 문제로 인해 비행과 동성애에 빠지게 된 소년과 군대에서의 뭐라고 성경험에 대한 지워진 기억을 안고 사는 중년 남성의 얘기를 다룬 [12시]의 경우는 뭔가 나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줬다.
그냥, 현실에서도, `치유`가 필요한 이들이 많을 것이라고. 그들에게 손을 내밀어 줘야할 것이라고.
그리고 여성들의 야오이 문화, 팬픽 문화를 다룬 [나르키소스의 숲]은 재미있게 읽었다. 복잡한 인물 구성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어 이를 따라가는 재미도 쏠쏠했고, 실제 야오이 소설을 앞뒤 중간 중간에 삽입한 것도 새로웠다. 무엇보다 현실적이었다는게 좋았다.
야오이 문화와 게이문화가 다르다는 것과 뭐~ 이를 대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시선까지. 꽤 괜찮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정체성의 교차로에 서서 어찌할지 모르는 이성애자 여대생의 불확도를 그린 [커밍아웃]도 좋았다. 내 주위에서도 솔직히 멋진 게이나 레즈비언을 보면서 자신도 그들과 동일시 하는 아이들을 종종 봐왔다. 현실감있는 글이었다.

솔직히 책을 읽고도
`잘 모르겠다`라는 말이 먼저 나오는 그런 책이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